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IHEUNG CITY 환경/농어업

업종별 준수사항

1회용품 사용규제 관련 안내

(법적근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0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2]
  • 1회용품 사용규제 업종별 준수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1회용품 사용규제 업종별 준수사항
업종준수 사항적용대상 1회용품
1. 집단급식소, 식품접객업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컵・접시・용기(합성수지・금속박 재질 등)
※ ‘22.11.24일부터1회용 종이컵 규제
ㆍ1회용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ㆍ1회용 수저・포크・나이프
ㆍ1회용 비닐식탁보
※‘22.11.24일부터 1회용 플라스틱 빨대·젓는 막대 규제
제작・배포억제 등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광고선전물
무상제공금지 ㆍ1회용 봉투 및 쇼핑백(제과점업만 해당)
※‘22.11.24일부터 음식점 및 주점업 무상제공금지, 제과점업 사용억제(사용금지)
2.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내식품제조・가공업, 즉석판매 제조・가공업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합성수지용기
* 대규모점포 : 매장면적 합계 3,000㎡ 이상 점포(유통산업발전법)
3. 목욕장업 무상제공금지 ㆍ1회용 면도기・칫솔・치약・샴푸・린스
※숙박업(객실 7실 이상)은 제외('09.7.1)
4. 대규모점포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봉투 및 쇼핑백(종이재질은 제외)
※‘22.11.24일부터 1회용 우산 비닐 사용억제(사용금지)
제작・배포억제 등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광고선전물
5. 체육시설
(운동장, 체육관, 종합체육시설)
무상제공금지 ㆍ1회용 응원용품
※‘22.11.24일부터 합성수지재질의 응원용품은 사용억제(사용금지)
6. 도・소매업
(매장면적 33㎡ 초과 업소)
무상제공금지 ㆍ1회용 봉투・쇼핑백(슈퍼마켓은 사용억제(사용금지))
※‘22.11.24일부터 종합 소매업 사용억제(사용금지)
제작・배포억제 등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광고선전물
7. 금융업, 보험 및 연금업, 증권 및 선물 중개업,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광고 대행업, 교육 서비스업 중 기타 교육기관, 영화관 운영업, 공연시설 운영업 제작・배포억제 등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광고선전물
8. 장례식장 내 식품접객업(조리시설과 세척시설 모두 갖춘 경우) 사용억제(사용금지) ㆍ1회용 컵・접시・용기(합성수지・금속박 재질 등)
ㆍ1회용 수저・포크・나이프 등

참고자료

1회용품 사용억제(금지) 및 무상제공 금지 대상에 대하여 아래 안내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회용품 사용규제 현황 다운로드
  • 1회용 봉투 및 쇼핑백 주요 질의·답변 (환경부 자료) 다운로드
  • 식품접객업 매장 내 1회용품 규제 적용범위 가이드라인 다운로드
  • 1회용품 사용억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다운로드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