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SIHEUNG CITY시흥역사문화유산

논곡동

  • 목감동은 시흥시 중심부에서 동쪽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 안양시, 남쪽으로 안산시, 서쪽으로 연성동, 북쪽으로 매화동과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17.57㎢로 시흥시 전체 면적의 12.9%를 차지한다. 1989년 시흥시 출범 당시 논곡동ㆍ목감동ㆍ광석동ㆍ능곡동ㆍ조남동ㆍ산현동ㆍ물왕동ㆍ하상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개청하였는데, ‘시흥시출장소설치조례’(시조례 제230호)에 따라 1991년 1월 15일 광석동ㆍ능곡동ㆍ하상동이 연성출장소로 분소하여 관할 법정동이 축소되었다.
    조선시대 이 지역에 ‘목암사(木岩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경내의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절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자 목암사의 ‘목’자와 단감나무의 ‘감’자를 따서 ‘목감’이라 했다는 데서 동명이 유래하였다.
    「近世朝鮮五萬分之一地形圖」(1917년)에 보이는 목감동 주변

    「近世朝鮮五萬分之一地形圖」(1917년)에 보이는 목감동 주변

논곡동

  •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 논곡리(논곡리)였다가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1914년 3월 1일을 기해 안산군이 시흥군과 수원군으로 분리 통합될 때 시흥군에 속하게 되었으며, 같은 해 3월 13일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3호에 따라 옛 안산군의 군내면ㆍ잉화면(인화면)ㆍ초산면이 수암면으로 통합될 때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로 편제되었다. 그 뒤 별다른 변화가 없다가 법률 제4050호에 의해 시흥시가 출범할 때 시흥시 논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동은 목감동이다.
    조선 정조 13년(1789)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논지곡리(論知谷里)’가 나오는데, 이로 보아 나중에 나오는 ‘논곡리’는 ‘논지곡리’를 줄여서 부른 이름으로 생각된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1년 경) 안산군 초산면에는 ‘논쥴’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지명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명의 변천을 년도별로 제공
    1789년대한제국기1912년1989년
    論知谷里 논쥴(論谷里) 論谷里 論谷洞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